[Selection/Exchange Sort] 선택정렬ㆍ교환정렬

[Bubble Sort] [Selection Sort] 선택정렬 가장 정상적인? 정렬방식이다. 가장 인간 친화적인 알고리즘이라고 생각한다. 우리가 트럼프카드를 정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. 카드들이 무작위적으로 마구 섞여있는데, 우리는 편의상 클로버2부터 클로버10까지만 존재한다고 치자. 참고로 우리나라와 프랑스는 ♧를 클로버라고 부르고, 일본과 미국은 클럽이라고 부른다고 한다. 다시 돌아와서, 당신이라면 어떻게 정리할 계획인가? 필자라면 10번부터 2번까지 차례대로 찾아서, 10-9-8-7-…-2 순서대로 아래서부터 차곡차곡 쌓을 […]

Continue

알고리즘이란?

알고리즘 Algorithm: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. 필자는 명령어들의 [유한집합]을 의미할 예정 유한집합이라는 유식해보이는 단어가 나왔다고 해서 당황할 것 없다. 그냥 [언젠가는 끝나는 작업]이어야 한다는 것이다. 그게 비록 수초가 걸리든 수분이 걸리든 수년이 걸리든 말이다. 언젠가 끝나기만 하면 된다. 왜 굳이 이러한 정의가 있는지는 애초에 왜 우리가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는가에 대해 생각해보면 된다. 알고리즘은 […]

Continue

나의 이야기를 세상에 한다는 것

블로그는 내가 글을 쓰는 공간이다. 그리고 누구나 내가 쓴 글을 찾아볼 수 있다. 그런데 사람들이 내 이야기를 궁금해하기나 할까? 아니 누군가가 궁금해한다면 그건 도대체 어떤 사람일까? 그리고 그들을 위해서 내가 글을 써야할까? 누구를 위해 운영하는 블로그인 걸까? 이런 질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서다보니 첫 글을 쓰기까지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. 하지만 이제는 그냥, 끄적거리련다. 고민만 하기에는 […]

Continue